1 | 불교의 중국 전래와 동아시아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to China and East Asia
| 불교의 중국 전래 시기, 경로, 관련 고사를 알아보고 불교의 고대 한국 전래를 살펴본다. | 1-1 | 중국 불교의 정의 Definition of the Meaning of Chinese Buddhism |
1-2 | 후한 명제의 감몽구법설 The Dream of Emperor Ming and the Story of the Search for the Dharma. |
1-3 | 전한 애제 년간 이존구수설 The Theory of the Oral Transmission of the Faith in the Epoch of Emperor Ai of the Former Han |
1-4 | 불교 전래 경로와 실크로드 The Routes of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and the Silk Road |
1-5 | 불교의 동아시아 전파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to East Asia |
2 | 불교의 중국화-도교와 유교
The Transformation of Buddhism in China - Daoism and Confucianism
| 불교가 중국에 전래되어 정착하는 과정에서 도교와 유교 등 기존 종교, 사상과 펼친 상호 경쟁 그리고 조화 노력에 대해 알아 본다. | 2-1 | 전래 초기 불교의 모습 Aspects of the Early Transmission of Buddhism |
2-2 | 업설과 형신론 The Theory of Karma and Metatheism |
2-3 | 이하론과 불교비판 'YiXia lun' and the Criticism of Buddhism. |
2-4 | 지둔의 노장적 불교 Zhidun's Buddhism and Daoism |
2-5 | 효 윤리의 수용 Adoption of 'Xiao' Morality |
3 | 불전 한역과 한자문화권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hinese Cultural Sphere
|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이후 시작한 불전의 한역 사업의 특징과 그것이 동아시아라는 한자문화권에서 갖는 의미를 파악한다. | 3-1 | ‘한대’와 삼국시대 역경가 The Han Dynasty and the Translato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
3-2 | 축법호의 역경과 도안의 번역론 Zhu Fahu and Daoan's Translation Theory |
3-3 | 구마라집(鳩摩羅什)의 역경과 제자 The Translations of Kumarajiva (鳩摩羅什) and his Disciples |
3-4 | 현장(玄奘)의 역경과 번역론 Xuanzang's Translations and his Theory of Translation |
3-5 | 번역 방법과 위경의 등장 Translation Methods and the Appearance of Apocryphal Literature |
4 | 학파불교와 고구려·백제·신라
Sectarian Buddhism and Goguryeo, Baekje, and Silla Kingdoms
| 중국에서 불교 문헌이 번역된 이후 발생한 불교 종파와 학파의 사상 특징을 파악하고 한반도 출신 고승의 역할을 알아본다. | 4-1 | 지론종의 출현과 분화 The Rise of the Dilun and its Division |
4-2 | 진제 삼장과 섭론종 Paramartha and the Shelun School |
4-3 | 수대 삼론종과 고구려 출신 승랑 The Sanlun Sect of the Sui and Goguryeo's Seungrang. |
4-4 | 수대 지의와 천태종 Zhiyi and Tiantai during the Sui Dynasty |
4-5 | 당대 다양한 종파의 출현 The Emergence of Various Sects during the Tang |
5 | 법상종·화엄종과 통일신라
Beopsang (Yogacara) School and Hwaeom (Avatamsaka) School, and Unified Silla Kingdom
| 중국 불교 내에서 법상종, 화엄종의 성립과 발전을 이해하고 그것읠 발전에서 신라출신 고승의 역할과 그들의 사상을 알아본다. | 5-1 | 현장과 규기의 법상종 전통 확립 Xuanzang, Kuiji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Faxiang Tradition |
5-2 | 원측의 해심밀경소와 신라 유식학자 Woncheuk's 'Commentary to the Jieshenmi jing' and Silla's Mind-Only Scholars |
5-3 | 화엄경 번역과 법장의 화엄종 건립 The Transl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Huayan Sect by Fazang |
5-4 |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와 화엄교단 Uisang's 'Hwaeom ilseung beopkyedo' and the Hwaeom Clergy |
5-5 | 대승기신론의 철학과 원효 Wonhyo and the Philosophy of 'Dashengqixin lun' |
6 | 선종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
Development of Seon (Zen) School and its Transmission in the Korean Peninsula
| 중국불교의 대표적인 자생 종파인 선종의 성립과 발전을 이해하고 그것의 한반도 전래에 대해 알아본다. | 6-1 | 초기 습선 전통과 보리달마 Early Chan Tradition and Bodhidharma |
6-2 | 동산법문과 홍인 Dongshan's Dharma Gate and Hongren |
6-3 | 남종선의 성립과 발전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ern School of Chan and its Development |
6-4 | 송대 선종과 간화선의 확립 The Flourishing of the Chan School during the Song Dynasty and the Establishment of Kanhua Chan |
6-5 | 선종 전통의 한국 전래 The Transmission of the Chan Tradition to Korea |
7 | 송·요와 고려의 불서 교류
Exchange of Buddhist Scriptures between Song, Liao and Goryeo Kingdom
| 북송대 대장경 조성과 이후 고려를 포함한 주변 지역의 대장경 간행 과정을 알아보고 고대중국과 고대한국의 불교 문헌 교류를 알아본다. | 7-1 | 대장경의 의미와 북송 개보대장경 The Significance of the Tripitaka and the Printing of the Canon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
7-2 | 개보장 이후 송대 사판 대장경과 석각대장경 Private Editions of the Canon during the Song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Kaibao Edition and the Carving of the Canon on Stone |
7-3 | 송 주변 국가와 원명청대 대장경 Song's Neighbouring Countries and the Tripitaka of the Yuan, Ming and Qing Dynasties |
7-4 | 고려 대장경 간행 The Publication of the Goryeo Tripitaka |
7-5 | 제관의 천태사교의와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 'Chontae sagyoui' by Jegwan and Uicheon's 'Sinpyeon kyojang chongrok' |
8 | 명·청 불교와 조선 불교
Buddhism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 명청시대 불교가 유교와 진행한 사상 교류의 특징을 파악하고 조선불교에 존재한 삼교일치론의 사상 특징을 이해한다. | 8-1 | 송대 확립된 보살신앙과 사대명산 The Establishment of Bodhisattva Faith during the Song and the Cult of Four Great Famous Mountains |
8-2 | 송명 유학과 불교 Neo-Confucianism of the Song and Ming Dynasties and Buddhism |
8-3 | 명말 사대고승과 제종융합의 경향 Four Great Monks of the End of the Ming and the Trend to Amalgamation of the Sects |
8-4 | 조선 불교의 삼교론 Joseon Buddhism and the Theory of the Three Religions |
8-5 | 청대불교와 금릉각경처 설립 Buddhism during the Qing and the Establishment of Jinling Kejing Chu |
9 | 근대 중국의 불교 사상가
Buddhist Thinkers in Modern China
| 근대중국의 불교 유행과 대표적인 사상가가 활용한 불교사상을 파악하고 근대중국불교의 사상사 상의 역할을 이해한다. | 9-1 | 탄쓰통(譚嗣同)의 충결망라와 자유 Tan Sitong's 'Breaking Through the Net' and his Ideals of Freedom |
9-2 | 량치차오의 계몽과 신민 Enlightenment and New People's Movement of Liang Qichao |
9-3 | 장타이옌의 혁명과 보살일천제 Revolution and Bodhisattva Icchantika of Zhang Taiyan |
9-4 | 량수밍의 인생고와 생명철학 Life of Liang Shuming and his Philosophy of Life |
9-5 | 타이쉬의 불교혁명과 인간불교 Buddhist Revolution and Humanistic Buddhism of Tai Xu |
10 | 동아시아 근대불교학의 성립
Establishment of Modern Buddhist Studies in East Asia
| 전통적인 불교연구와 다른 새로운 불교 연구로서 근대불교학의 성립 과정을 이해하고 그 구체적인 사례로서 불교경학과 선종사 연구 등에 대해 알아본다. | 10-1 | 근대 유럽의 불교 연구와 메이지 불교학 Buddhist Studies in Modern Europe and Meiji Buddhist Studies |
10-2 | 서구불교문헌학의 중국 전래 The Transmission of Western Buddhist Bibliography to China |
10-3 | 불교경학과 경전교감 Buddhist Canonical Studies and Collation |
10-4 | 불교사연구와 역사문헌학 Research on Buddhist History and Historical Bibliography |
10-5 | 후스의 선종사연구 Hu Shi's Research on the History of Ch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