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이 강좌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를 살았던불교계의중요한인물의 삶을 통해서 한국 불교사의 흐름을 알아보고자 한다. 시대를 고민했던 인물들의 삶과 그들의 선구자적인 업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

    This course will be an overview of the flow of KoreanBuddhisthistory through the lives of significant figures in theBuddhistcommunity. These figures lived from the Goryeŏ Dynasty totheJoseŏn Dynasty. Completing the course, the learners canunderstandcultural influences on the dynamic development ofKoreanBuddhism.


    홍보/예시 영상

    강좌 수강 정보


    평가/이수정보

    평가방법: 퀴즈 100% (토론 및 생각해보기는 평가점수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이수기준총점이 60점 이상이고 설문조사를 완료하면 이수증 발급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한국학, 불교학에 대한 관심이 있는 분들을 위한 강좌로 선수요건 없이 모든 학습자가 수강 할 수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이 강좌를 듣기 위한 별도의 교재는 없으며, 학습자료와 가이드북(자료실)PDF파일로 제공합니다.

    수업계획서

    주차

    주차명

    차시

    차시명

    학습활동

    1

    고려불교 어떻게 볼 것인가?

    The Role and Character of Buddhism in the Goryeo Dynasty

     

    1-1

    고려시대 불교에 대한 통념과 고려문화의 특징

    퀴즈

    1-2

    태조의 불교정책

    1-3

    승정제도의 운영

    1-4

    숭불의 다양한 모습

    1-5

    불교행사의 개최와 사원의 사회경제적 기능

    1-6

    호법과 호국불교

    1-7

    배불론의 역사적 의미

    2

    화엄교학의 대표자, 균여

    The Life and Thoughts of Kyunyeo,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Hwaeom Teachings

     

    2-1

    나말여초 불교계의 상황

    퀴즈

    2-2

    광종대 불교의 동향

    2-3

    균여의 생애와 활동

    2-4

    균여의 화엄사상

    2-5

    보현십원가와 불교대중화

    2-6

    입적 이후의 균여

    3

    동아시아 불서의 확산, 의천

    Uicheon,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pread of East Asian Buddhist Texts

     

    3-1

    고려전기 불교계의 동향

    퀴즈

    3-2

    의천의 생애화 활동

    3-3

    의천의 사상과 천태종 개창

    3-4

    의천의 교장 간행

    3-5

    중세 동아시아 불교교류에서의 교장의 의미

    3-6

    의천 입적 이후의 변화

    4

    한국선의 탄생, 지눌

    The Life and Thoughts of Pojo Guksa Jinul

     

    4-1

    무인집권기 불교계의 동향

    퀴즈

    4-2

    지눌의 생애

    4-3

    지눌의 정혜결사

    4-4

    지눌의 사상

    4-5

    지눌에 대한 기억

    5

    임제선의 태고보우, 나옹혜근

    Taego Bowoo and Naong Hyegeun, Representative monks of the ImjeGanhwaseon

     

    5-1

    원간섭기 임제간화선의 수용

    퀴즈

    5-2

    몽산덕이 선의 특징과 영향

    5-3

    입원인가의 의미

    5-4

    태고보우와 나옹혜근의 생애와 사상

    5-5

    고려말 간화선풍의 성행

    5-6

    공민왕의 불교개혁

    6

    조선시대 불교사 다시 보기

    Summary of Buddhist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6-1

    조선시대 불교의 흐름

    퀴즈

    6-2

    조선시대 승려의 신분

    6-3

    사족과 불교

    6-4

    왕실의 불교신앙

    6-5

    조선시대 불교와 여성

    7

    조선전기 고승들

    The Eminent Monk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7-1

    득통기화의 생애

    퀴즈

    7-2

    《현정론》과 기화의 유불관계

    7-3

    설잠 김시습의 생애

    7-4

    설잠 김시습의 저술과 후대의 기억

    7-5

    허응당 나암보우의 생애와 활동

    7-6

    허응당 나암보우의 사상

    8

    조선불교를 세우다, 청허휴정

    The Life and Thoughts of Chungheo Hyujeong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Buddhism in Late Joseon

     

    8-1

    청허휴정의 생애

    퀴즈

    8-2

    청허휴정의 사상

    8-3

    조선후기 이력과정과 청허휴정

    8-4

    조선후기 법통설과 청허휴정

    8-5

    조선후기 문파의 형성과 그 영향

    9

    나라를 구한 의승장, 사명유정

    Samyong Yujeong, Who Led Uiseunggun(soldier monks) to Save Country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9-1

    임진왜란과 병자혼란

    퀴즈

    9-2

    사명유정의 생애

    9-3

    사명유정의 일본관련 활동

    9-4

    임진왜란에서의 승군 활동

    9-5

    병자호란 및 조선후기 승군의 활동

    10

    전통 재해석,연담유일, 백파긍선

    Yondam Yuil and Baekpa Geungseon Who Tried to Reinterpret theTradition of Joseon Buddhism

     

    10-1

    조선후기 화엄학 성행의 배경

    퀴즈

    10-2

    조선후기 강경 전통

    10-3

    조선후기 선논쟁과 백파긍선

    10-4

    조선후기 선논쟁과 총의의순

    10-5

    조선후기 불교사서 편찬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강호선

      [소속] 성신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최종학력]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

       

      [주요 저술]

      ≪한국 불교사 고려≫

      ≪한국 호국불교의 재조명≫

      ≪대동금석서 연구≫ 등


    • 동국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K-MOOC 담당자

      이메일: k-buddhism@dgu.ac.kr

       

      전화번호: 02-6713-5178


    자주묻는질문

    Q 진도상황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How can I check my courses’ progress rate?)

    A 화면 상단 메뉴 '진행상황'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You can check it in the 'Progress' menu at the top of the screen.

    Q 강의수강 및 학습내용에 대한 질문은 어디서 할 수 있나요? (Where can I ask questions about the course and learning content?)

    A Q&A 게시판에 질문사항을 남겨 주시면, 담당 운영진 및 교수자가 확인하는 데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You can leave your questions in the Q&A board, and the relevant staff and instructors will respond as soon as they review it.

    Q 이수증은 언제부터 발급이 가능한가요? (From when will the certificate of completion be issued?)

    A 이수 기준을 충족한 경우, 1~2일 이내에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Upon meeting the completion requirements, a certificate will be issued within 1 to 2 days.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동국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이수증 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15시간 00분 (13시간 17분)

    수강신청기간 25.01.15 ~ 25.12.31

    강좌운영기간 25.01.15 ~ 25.12.31

    전화번호 02-6713-5178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