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동아시아 불교의 확산과 더불어 각 나라에서는 경전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불서가 전래되어 왔다. 불서는 필사와 간행을 통해 국내 및 국외에 유통되었고, 대장경 등의 대규모 간행 사업이 국가와 사원에서 이루어졌다. 한국은 현존하는 최초의 목판본과 최초의 금속 활자본을 보유하고 있다. 신라시대 사경으로부터 고려시대의 대장경, 교장 및 금속활자본, 조선시대의 왕실본과 사찰본, 근현대의 불서와 디지털아카이브 등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국의 불서출판 문화의 역사적 흐름과 그 연구사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flowofBuddhist literature printing and culture in Korea, includingfromancient times to the present and its historical value. Koreahasthe world's oldest collection of wood-block prints and theworld'sfirst collection of metal type text. The various Buddhistworks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ourprintingculture. In this course, learners will understand thehistory ofBuddhist printing as follows: Buddhist scriptures of theShillaera, the Tripitaka, Buddhist commentaries (Gyojang) andmetalmovable type prints of the Koryŏ period, the royal familyandtemple books of the Joseon period, and the Buddhist booksanddigital archives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홍보/예시 영상

    강좌 수강 정보


    평가/이수정보

    평가방법: 퀴즈 100% (토론 및 생각해보기는 평가점수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이수기준총점이 60점 이상이고 설문조사를 완료하면 이수증 발급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해당 강좌는 전문가 수준의 고급강좌입니다. 그러나 한국 불교사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누구든지 들을 수 있습니다 .

    수업계획서

    주차

    주제

    차시

    차시명

    학습활동

    1

    동아시아 불교의 확산과 출판

    The Spread and Publication of East Asian Buddhism


    1-1

    동아시아 불교의 전파와 불서

    퀴즈

    1-2

    5~9세기 동아시아의 불서 출판

    1-3

    10~14세기 동아시아의 불서 출판

    1-4

    15~19세기 동아시아의 불서 출판

    1-5

    근대 동아시아의 불서 출판

    1-6

    불서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

    2

    불교 사본과 묵서, 사경

    Hand-copied Texts, Ink-written Texts, and Scripture Hand-copies


    2-1

    사경이란

    퀴즈

    2-2

    불교 사경의 형태적 특징

    2-3

    한국사경의 역사

    2-4

    고려시대 금∙은자대장경

    2-5

    고려시대, 조선시대 서사자

    2-6

    전존본 사본의 사례

    3

    활자본으로 본 불서

    Buddhist Texts in Movable Type


    3-1

    목판 인쇄 배경에서 활자 인쇄술의 발생

    퀴즈

    3-2

    금속활자 주조법주물사주조법,밀랍주조법

    3-3

    직지의발견 및 전래 경위와 형태서지적 특징

    3-4

    흥덕사자 인본의 직지와 자비도량참법집해

    3-5

    고려 금속활자 번각본 증도가 인본의 특징과 관련 기록

    3-6

    증도가를 찍은 금속활자

    4

    고려 교장과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의 교류와 전승

    Spread of Goryeo Doctrinal Canon and Transmission in the East Asian Buddhist Cultural Region


    4-1

    고려 교장의 성립과 전개

    퀴즈

    4-2

    고려 교장의 구성과 내용

    4-3

    고려 교장의 간행과 전존 현황

    4-4

    고려 교장의 고려 및 조선시대 유통과 전승

    4-5

    고려 교장의 송∙요 불교계 교류와 전승

    4-6

    고려 교장의 일본 불교계 교류와 전승

    5

    대장경의 역사와 고려대장경

    The History of the Buddhist Canon and the Goryeo Buddhist Canon


    5-1

    대장경의 의의와 중국대장경

    퀴즈

    5-2

    한국의 불교 목판본 간행사와 초조대장경의 성립

    5-3

    초조대장경 인본과 어제비장전

    5-4

    재조대장경의 성립

    5-5

    재조대장경의 경판과 인본

    5-6

    밀교대장경

    6

    조선전기 왕실의 불교전적 출판

    The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by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Joseon


    6-1

    강의 소개 및 개념 정의

    퀴즈

    6-2

    조선시대 출판정책과 불전 간행

    6-3

    조선전기 왕실의 불교전적 간행

    6-4

    조선전기 활자본 불전 간행

    6-5

    간경도감의 불교전적 출판

    6-6

    조선전기 왕실의 불전 출판 양상

    7

    조선시대 사찰본의 간행

    The Publication of Buddhist Temple Editions in Joseon


    7-1

    강의 소개 및 개념 정의

    퀴즈

    7-2

    조선전기 사찰본의 출현 양상

    7-3

    조선전기 사찰본의 간행 경향

    7-4

    조선후기 사찰본의 출판 양상

    7-5

    조선후기 사찰본의 간행 경향

    7-6

    조선시대 사찰본의 간행 특징

    8

    조선후기 가흥대장경 불서의 복각과 영향

    The Re-carving(bokgak) of the Jiaxing Buddhist Canon and Its Influence in the Late Joseon

     


    8-1

    중국의 가흥대장경 판각과 유통

    퀴즈

    8-2

    가흥대장경의 일본과 조선 전래

    8-3

    백암성총의 가흥대장경 복각

    8-4

    지리산권 사찰의 가흥대장경 불서 간행

    8-5

    非지리산권 사찰의 가흥대장경 불서 간행

    8-6

    가흥대장경 불서가 불교계에 미친 영향

    9

    출판으로 보는 조선 불교

    Publications in Joseon Buddhism


    9-1

    불서 간행의 추이와 조선 불교

    퀴즈

    9-2

    국가의 승정 운영과 불서 간행

    9-3

    조선 사회의 사찰과 불서 간행

    9-4

    불교계의 동향과 불서 간행

    9-5

    서적의 보급과 불서 간행

    9-6

    한글의 보급과 불서 간행

    10

    근대불서와 불교잡지

    Buddhist Texts and Buddhist Journals in Modern Times


    10-1

    근대불서의 현황

    퀴즈

    10-2

    불교잡지의 등장-1910년대

    10-3

    불교잡지의 성장-1920년대

    10-4

    불교잡지의 확산-1930년대

    10-5

    불교잡지 속의 불서-발굴과 광고

    10-6

    불교잡지의 문화사적 의의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이종수

      [소속] 국립순천대학교 사학과 교수

       

      [주요 저술]

      ≪경상도 전통 사찰의 출판문화≫

      ≪한국 불교사 : 조선·근대≫

      ≪조선의 왕실사찰 삼각산 흥천사≫ 등


    • 남권희

      [소속] (사)한국전적문화재연구소 이사장 /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명예교수

       

      [주요 저술]

      ≪지식정보의 소통과 한국 금속활자 발달사 - 조선시대≫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론≫

      ≪증도가자와 고려시대 금속활자≫ 등

       


    • 박용진

      [소속]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주요 저술]

      ≪새로 쓰는 대장경의 성립과 변천≫

      ≪한국 불교사 고려≫

      ≪의천 그의 생애와 사상≫ 등

       


    • 송일기

      [소속]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명예교수

       

      [주요 저술]

      ≪중국목록학사상사≫

      ≪조선시대 스님의 일상≫

      ≪한국의 고판화≫ 등

       


    • 손성필

      [소속] 조선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주요 저술]

      ≪조선전기 국가와 사찰: 조선시대 불교 역사상에 대한 비판과 성찰≫

      ≪한국 불교사 : 조선·근대≫

      ≪고려에서 조선으로 : 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 등


    • 김종진

      [소속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교수

       

      [주요 저술]

      ≪산간(山間)에서 가두(街頭)로 승려로서 대중에 근대 잡지《불교》의 문화지형≫

      ≪근대 불교잡지의 문화사≫

      ≪한국 불교시가의 동아시아적 맥락과 근대성≫ 등


    • 동국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K-MOOC 담당자

      이메일: k-buddhism@dgu.ac.kr

       

      전화번호: 02-6713-5178

       


    자주묻는질문

    Q 진도상황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How can I check my courses’ progress rate?)

    A 화면 상단 메뉴 '진행상황'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You can check it in the 'Progress' menu at the top of the screen.

    Q 강의수강 및 학습내용에 대한 질문은 어디서 할 수 있나요? (Where can I ask questions about the course and learning content?)

    A Q&A 게시판에 질문사항을 남겨 주시면, 담당 운영진 및 교수자가 확인하는 데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You can leave your questions in the Q&A board, and the relevant staff and instructors will respond as soon as they review it.

    Q 이수증은 언제부터 발급이 가능한가요? (From when will the certificate of completion be issued?)

    A 이수 기준을 충족한 경우, 1~2일 이내에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Upon meeting the completion requirements, a certificate will be issued within 1 to 2 days.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전공심화

    운영기관 동국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이수증 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15시간 00분 (12시간 38분)

    수강신청기간 25.01.15 ~ 25.12.31

    강좌운영기간 25.01.15 ~ 25.12.31

    전화번호 02-6713-5178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